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 셀레늄, 그리고 사람의 건강(Plants, selenium and human health)

전문가 제언
☐ 셀레늄과 사람의 건강

○ 아직은 셀레늄의 약리적 효과 등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들은 셀레늄이 무슨 특효성분인 것처럼 여긴다. 그러나 오히려 현 단계에서는 셀레늄을 과다하게 흡수한 경우에 발생하는 위험이 더 잘 알려진 상태에 있다.

○ 우리나라 농가 중에 이미 셀레늄을 채소 등 식용작물에 주어 셀레늄이 많이 들어 있는 농산물을 생산해보려는 이들이 있으나 지금은 그럴 단계가 아닌 것 같다. 셀레늄처럼 그 요구량이 매우 적은 경우에는 특수한 경우에만 보충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므로 그런 경우는 전문의의 판단을 따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농작물에 셀레늄을 주고 재배한 다음 기능성식품이라고 판매하게 하는 일은 피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 셀레늄과 환경문제

○ 중금속으로 오염된 땅을 식물을 사용하여 생물적으로 복원시킬(Phytoremediation) 수 있다는 설이 등장한지 오래 되었지만 이 기술이 실용화한 예는 별로 없다. 어떤 식물이 어떤 유해한 중금속을 많이 흡수한다 하더라도 그 식물체를 어디인가에 벼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 예로 든 어떤 백합과 식물들과 배추과 식물들처럼 흡수된 셀레늄이 식물체내에서 dimethyldisulfide 같은 휘발성 있는 물질로 되어 대기 중으로 휘산되는 경우에도 국지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대기 중으로 휘산된 셀레늄이 어디로 가느냐가 관심사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셀레늄 같은 것에 대한 연구를 더 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된 자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저자
Ellis, Danielle R.; Salt, David E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6(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3~279
분석자
홍*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