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성의 표면(The Surface of Mars: not just dust and rocks)

전문가 제언
□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 인공위성 바이킹호(Viking)가 처음으로 화성(火星, Mars)의 열적외선도(熱赤外線圖, Thermal Infrared Map)를 보고한바 있으나, 화성 표면의 기반암 내의 지질학적 특성을 세세하게 보여줄 만큼 높은 해상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 그러나 2003년 Golombek은 그 결과를 바꾸어 놓았다. 높은 해상도의 열 관성도(圖)로 화성의 지질학적 역사와 진화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제시하고 있으며, 화성에 대한 열방사영상시스템(THEMIS)에 의한 Christensen 등의 첫 번째 자료에 대하여 더욱 신빙성을 높여주고 있다.

□ 그러므로 THEMIS의 열적 및 가시적 이미지로 행성을 연구하는 지질학자들은 앞으로 화성의 지질학적 역사와 진화에 대하여 아주 새로운 개념으로 전체 화성 표면에 대한 지질도를 작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또한 우리는 이와 같은 놀라운 새로운 발견이 앞으로 몇 년 내에 이러한 극적인 새로운 자료를 이용하여 지질학자들이 화성의 지질도를 다시 만들게 될 것이라는 가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2004년도 벽두에 미국 NASA에서는 새로운 인공위성 Spirit호와 Opportunity호를 화성 표면의 서로 반대편에 착륙시켰고, 유럽연합에서도 새로운 인공위성 Mars Express호(Beegle-2)를 비슷한 시기에 발사하였으나 실패로 끝난 바 있다. 이들의 연구결과(물과 메탄가스의 존재)가 앞으로 새로운 자료로 첨가될 것을 기대해 본다.

□ 미국의 NASA는 2011년 후반에 Mars Sample Return Project를 계획하여, 가장 최신의 화성물질로 암석, 토양, 빙하, 대기, 가스/먼지 등의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성표면에서 심도 20m 또는 그 이상을 뚫을 수 있는 시추작업, 정밀한 분광계와 전자 현미경과 같은 신세대의 소형 과학기구에 의한 관찰 등 고성능의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결과가 기다려진다.
저자
Golombek, Matthew P.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3
권(호)
잡지명
Scienc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2043~2044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