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부쉬벨드복합암체의 윤회층 중 사장석 함유량(Plagioclase content of cyclic units in the Bushveld Complex, South Africa)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세계 백금계열 광물자원의 주 생산지인 남아공 부쉬벨드 복합암체의 “Upper Critical Zone”의 상부 Merensky와 Bastard 윤회층이 공융결정 비율에서 사방휘석 보다는 사장석이 초과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사장석이 60~65wt.%이고, 이 들 층은 모두 측방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히고 있음.
⃞ 이 자료에서 제시된 모델은 Merensky와 Bastard층에 추가된 마그마는 진화가 진행된 사장석이 과포화 된 염기성 마그마 중의 하나로, 이전의 주입 마그마 보다 Sr 동위원소의 높은 초기 비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으며, 모드성분의 규칙적인 수직변화를 근거로 결정의 침전과 분급이 Merensky 윤회층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됨.
⃞ 이 지역에 발달하는 두꺼운 UG2층은 균질하며, 사장석과 사방휘석의 공융결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윤회층군의 여러 층에서 모드성분의 규칙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점 등으로 미루어 광물 집적 시 분급작용이 있었음을 밝히고 있음.
⃞ 미국 지질조사소(USGS)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3년도 세계 백금계열금속의 총 생산량은 184톤으로, 그 중 72.8%인 134톤을 남아공에서 생산할 정도로 백금계열 광물자원 부국이며, 남아공의 10개의 백금광산 중 9개가 이 연구지역인 부쉬벨드지역에 위치하고 있음.
⃞ 그러므로 이 지역 Chromitite층의 경제적 중요성과 UG2 chromitite와 Merensky Reef중에 부존된 엄청난 양의 백금(PGM)계열 광물자원 때문에 부쉬벨드 복합암체의 서부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의 결과와 백금광상의 지질광물학적 부존 특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제시가 없다는 것은 아쉬움이 있음.
- 저자
- Cawthorn, R. Grant; Spies, Lian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145(1)
- 잡지명
-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7~60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