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을이용한복원:식물과박테리아를복합이용한환경정화(Phytoremediation: synergistic use of plants and bacteria to clean up the environment)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경우 토양이 중금속등으로 심하게 오염된 대상지역은 폐광산지역과 군부대 주둔지역 및 산업생산이 금속물질의 생산이나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업장주변으로 볼 수 있다.
□ 폐광의 경우 환경규제가 심하지 않았던 80년대 이전에 뒤처리 없이 철수한곳이 많아서 주변으로 오염범위가 확산되고 있는 지역도 있고 군부대주변이나 산업현장주변은 지금부터 오염토양지역을 조사하여 토양복원사업계획을 수립해야한다.
□ 환경부의 G-7 Project 연구과제나 차세대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도 오염토양의 복원기술개발에 관하여 연구하는 몇 개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음은 다행이지만 본 논문에서 지적하였듯이 시간적으로나 특히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방법은 개발된 기술의 이용가능성이 희박함으로 식물과 식물 성장촉진 박테리아를 이용한 방법의 장점을 잘 취하여 연구할 필요가 절실하다고 본다.
□ 지적하였듯이 이 방향의 연구는 유아기단계임으로 우리나라에서 잘 크는 토종의 속성수나 토종식물을 1차 대상으로 하여 실험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Glick, Bernard 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1(5)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3~393
- 분석자
- 구*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