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성에스트로겐: 내분비교란물질인가? 호르몬대체요법을 위한 대체제인가?

전문가 제언
□ 여성갱년기 장해는 산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보편적 질환 중의 하나로 치료방법으로 호르몬 대체요법(HRT)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장기간의 HRT는 유방암과 자궁암, 그리고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 그동안 콩이나 레드클로버와 이들로부터 분리된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Genistein, Daidzein 등)이 폐경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 갱년기 증상의 치료 또는 경감에 효과적이라는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적으로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자궁암이나 유방암의 위험비 증가 가능성에 대한 실험 또는 임상사례의 보고 등 부정적 효과에 대한 견해가 강조되고 있다. 심지어 식물성에스트로겐을 “내분비 교란물질”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로서 활성 즉, 뇌/시상하부에 작용하여 갱년기증상 방지, 골다공증 방지, 질 환경의 안정화와 비뇨기 방광에서 요실금의 방지와 같은 바람직한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방이나 질 내막조직의 증식을 촉진하여 악성종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가지지 않는 화합물의 발견이 요구되고 있다.

○ 이에 서양에서 전통적으로 여성갱년기 증상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온 Cimicifuga racemosa(CR)의 추출물과 그 제품(CR BNO 1055)이 그동안의 실험적 결과에서 SERM으로서 유용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보다 객관적 임상실험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더 많은 임상실험을 통해 유효성이 확인되면 이상적 SERM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특히 현재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갱년기 증상에 대한 이상적 HRT 대체제는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본 총설은 여성 갱년기 장해 증상의 치료/경감을 위한 HRT의 임상적 사용의 문제점을 비롯한 그 대체제 개발의 방향과 그 연구 접근 방법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Wuttke, Wolfgang; Jarry, Hubertus; Becker, Tamara; Schultens, Alexander; Christoffel, Volker; Gorkow, Christoph; Seidlova-Wuttke, Dan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44(Suppl.1)
잡지명
Maturita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20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