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 전위차의 pH 의존성(pH-dependent redox potential: how to use it correctly in the activation energy analysis)
- 전문가 제언
-
□ 산화환원 전위는 산화환원 전극의 평형 전극전위를 말한다. 용액의 산화력 또는 환원력의 새기를 나타내는 양이다. 산화반응 R→O+ne에서 산화전위가 큰 양의 값을 가질수록 일반적으로 산화력이 강하다. 화학반응계 전체는 산화환원 반응계이고 이 반응은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가령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M1을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의 이온 M2+용액에 넣어두면 용액에서의 반응은 M1+M2+→M1++M2로 되어 M1이 산화되고 M2+가 환원되었다. 물질과 물질이 접해 있을 경우 전자의 이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은 매우 고전적인 물리화학 이론이다. 이 논문은 산화환원 전위현상을 생물화학에 적용하여 심오한 생체의 신비로 이어지게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논문의 제목은 “산화환원 전위의 pH 의존성”으로 되어 있으나, 그 내용은 활성화 자유에너지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또 그 개념을 단백질의 Complex에 적용하여 복잡한 생체의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구조 자유에너지의 거동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언급한 것은 생체내부에서 비밀에 싸여있는 정밀한 생체기계가 자연과학의 도움으로 해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이 논문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지게 한다. 정밀측정에 관한 자료가 전혀 수록되지 않았고, 시종일관 수식에 의한 이론만을 Review한 것이 아쉽다. 생체는 우주에서 가장 정밀한 기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밀기계가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단서도 이 논문의 범주 안에서 풀릴 것이다.
- 저자
- Krishtalik, Lev 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21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