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광전지: 광전지 염료의 분광학적, 광전기적 성질(Organic photovoltaic solar cells: spectroscopic and photoelectric properties of photoactive dyes)

전문가 제언
□ 21세기에 들어오면서, 환경 친화적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석유 자원 국가들에서 일어나는 전쟁과 내분으로 화석에너지의 대체로 가장 많이 대두되는 에너지원으로 태양에너지를 들 수 있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은 태양이 갖고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경우와 광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 전지로 나누어지고, 태양 전지는 다시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유기 태양전지로 나눌 수 있다. 실리콘이 고가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싼 단결정 실리콘을 무정형 실리콘계 태양전지 개발과 유기 염료를 이용한 염료 감응 유기 태양전지가 있다.

□ 염료 감응 유기 태양 전지는 태양광을 받은 염료에서 전자의 여기가 일어나서 반도체의 전극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아직까지는 그 연구가 초보적인 단계이나, 가격이 싼 장점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여러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풀어야 할 문제가 많이 있지만, 가장 크게는 사용하는 염료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원하는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 염료를 개발할 것이므로, 본 논문은 이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논문은 photovoltaic 염료가 샌드위치 형태의 광전기화학셀(photoelectrochemical cell)에 도입되었을 때, 광전지용(photovoltaic) 염료의 분자 구조와 분광학적 성질과의 관계가 태양에너지에 있어, 전기 에너지 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사용한 염료는 포피린(porphyrin)계와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을 시료로 선정하여 구조 및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사용한 금속의 종류, 치환된 가지가 광전기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이고, 분자구조의 π 전자의 수의 증가 및 국부화, 염료사이의 에너지 이동 및 결합세기 조절 등을 통해 광전류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저자
Wrobel, Danu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6(3)
잡지명
Comptes Rendus Chimi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7~429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