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 처리공정의 온-라인 측정계기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폐수 처리공장의 각 단위 공정을 혐기성 소화, 슬러지의 활성화, 영양소의 제거 및 슬러지의 침강 제거로 나누고 이 공정마다 현존하거나 또는 새로이 등장하는 센서 기술을 개관하였다.
○ 특히 각 센서마다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가동상의 제약을 상술하였다.
□ 따라서 전 공장의 각 공정의 공통적 측정요소로는 온도, 압력, 액체 수준의 높이, 유량(기체 및 액체), pH, 전기 전도도, 액체 중 부유물질의 농도, 배출 가스의 성분, 염기도, 형광 측정 및 지방산 함량 등이다.
○ 여기서 액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성분의 온-라인 직접 분석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 액체에 용해된 수소의 농도를 구하기 위하여 기체 중의 수소 농도를 먼저 측정하고 평형상태로 가정하여 기체-액체 평형이론에 의한 헨리의 법칙으로 액체 내 요해된 수소를 구하기도 한다.
- 그러나 액체의 수소 농도를 계산하려면 물질전달 이론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특히 동적 상태에서 이를 위한 기체의 조성 사용은 지극히 조심해야 한다.
○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상에서 액체 중 가스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계기가 등장하고 있기는 하다.
- 그러나 아직도 H2S나 CH4를 온-라인으로 직접 측정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 슬러지의 활성화 공정에서는 특히 용해된 산소, 미생물의 호흡량의 측정,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 유기질 탄소의 양과 자외선 흡수도 등의 측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 방류수에 의한 하천 또는 해양의 부영양화(富營養化) 방지를 위하여 폐수 중에 포함된 영양소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 영양소는 폐수 내의 질소와 인 성분을 뜻한다.
□ 마지막으로 폐수 중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침강 분리 공정에서는 슬러리 층과 물의 경계 측정과 슬러리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슬러리 부피인덱스 등이 있다.
□ 이와 같이 새로이 개선된 계측기에 투자하여 공정을 현대화 하고 효율을 개선하며 동시에 용량을 확대하는 것이 반응기를 더 용량이 큰 것으로 대체함보다 더 현명할 수도 있다.
- 저자
- Vanrolleghem, P. A.; Lee, D.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47(2)
- 잡지명
-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4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