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력 해수 담수화: 담수 생산을 위한 실행 가능한 선택
- 전문가 제언
-
□ Nuclear Desalination 개발 배경과 향후 전망은 다음과 같다.
○ 인구 증가에 알맞은 적절한 음용수 공급은 지구규모로서의 과제이다. 사막화에 의한 연간 600만ha의 토지가 거의 회복불능 생태로 황폐화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녹화를 해야 하고, 물을 얻을 수 없는 지역에서 녹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담수 확보가 필요하다.
○ 담수화 방법 및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해수를 가열하면 수분만이 증발하고, 냉각하면 수분만이 응축되므로 이 원리를 이용한 상변화를 수반하는 담수화(증류법)가 일반적이고, 특수한 막을 사용하면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염분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전자는 열에너지를, 후자는 전기 또는 기계에너지가 이용된다. 해수담수화 설비 총용량은 1960년 일산 20만 톤에 불과했으나 1997년에는 일산 2,300만 톤에 달하였다. 쿠웨이트와 같은 나라는 전체 물수요의 97%를 Nuclear Desalination 의존하고 있다.
○ 원자력의 이용은 값싸고 공급이 안정된 열 에너지원으로 대표되고 있었으나 근년에는 역삼투막법과 연결하여 운전에 많은 융통성을 갖게 되었다. 역삼투막법은 상온조작으로 기동과 정지를 신속히 할 수 있음으로 원자력발전과 조합된 통합설비에서는 일일 또는 계절의 수요에 따른 원자력발전과 담수화의 비율을 변경하면서 원자로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전력의 부하추종(송전양의 조정)이 가능해 진다. 역삼투막법의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소형원자로에서도 음용수 제조가 가능해 진다. 예로서 전기출력 50MW의 원자로에서 역삼투막법과 연결한 담수화설비에서 일산 20만 톤의 음용수 제조가 가능하므로 보다 안전성이 높은 중소형원자로의 도입이 적합하다.
○ 원자력의 해수담수화가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을 가졌다 하드라도 이의 실용화가 즉시 가능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사회 전반에 깔려있는 원자력에 대한 낮은 수용성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은 규모의 시설을 설치하여 상당기간 안전성과 경제성을 입증해야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만 실현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Ron S. Faibish, Toshio Kon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157(1-3)
- 잡지명
- Desalin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41~252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