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탄화수소로부터 PEM 연료전지용 수소생산을 위한 신소재

전문가 제언
□ PEM 연료전지의 연구는 1955년 GE에서 처음으로 시작하였으며, GE는 1965년 미국 Gemini 3호 우주선에 1KW급 고체 고분자 연료전지를 적용하였다. 이후 BNL, LANL 연구소 및 U.S. Army, Ford, GM 등의 자동차 회사들이 고정식 및 이동식 연료전지 개발에 착수하였다. 캐나다 Ballard사는 120KW급 전기자동차를 개발하였으며 독일, 프랑스, 영국, 러시아 등도 1~8KW 이동식 PEM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1990년부터 일부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시작하여 1995년에 가스공사가 1KW급 스택 개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1996년부터 대체에너지 기술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일부 기업 및 대학이 참여하여 2KW급 연구개발을 끝내고, 현재 5KW급 PEM 연료전지 개발이 진행 중이다.

□ 고체고분자 연료전지가 이동형 또는 고정형 전원으로서 보급되고 가격 경쟁력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수소 대량 생산기술은 석유, 천연가스등의 화석연료의 복잡한 촉매 반응과 합성가스 전환 공정에 의존하게 되므로 소형 연료전지용 수소 생산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기술적 제약이 따른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PEM 연료 전지에 적합한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수소 생산 공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당분간 전국적인 배관망이 잘 구축된 천연가스를 원료로 최종 수요처인 가정과 산업체 현장에서 직접 수소와 전력을 생산하는 고정방식의 연료전지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성공적으로 보급된 후에 이동형 연료전지의 보급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장기적으로 수소 생산은 화석 연료가 아닌 대체 에너지 또는 원자력 폐열을 이용하는 혁신적인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Farrauto, R.; Hwang, S.; Shore, L.; Ruettinger, W.; Lampert, J.; Giroux, T.; Liu, Y.; Ilinich, O.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33
잡지명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7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