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바이오발광효소 면역분석을 위한 새로운 라벨효소(New label enzymes for bioluminescent enzyme immunoassay)

전문가 제언
□ 라벨효소로서 AK(Acetate kinase)나 PPDK(Pyruvate phosphate dikinase)를 사용하여 ATP를 생성시키며, 이 때 라벨효소의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BLEIA에 이용한 예를 들고 있다. AK를 항체나 항원의 라벨효소로 이용한 BLEIA 예와, AK를 바이오틴 접합체로 제조하여 스트렙트아비딘-바이오틴 시스템으로 증폭하여 분석감도를 높인 BLEIA 예를 분석법의 평가를 통해 증명하고 있다. 또한 PPDK를 항체의 라벨효소로 이용한 BLEIA의 예를 분석법 평가를 통해 기술하고 있다. 최근 유전공학기법으로 제조된 유전자변이 루시페라제를 이용한 경우와 바이오틴 루시페라제를 이용한 BLEIA도 함께 기술한 광범위한 리뷰 논문이다.

□ 발광면역분석법(LIA)은 일반적으로 효소면역분석법이나 방사면역분석법 또는 형광면역분석법 보다 분석감도가 좋으므로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LIA는 Chemiluminescent immunoassay (CLIA)와 BLEIA가 보편적으로 많아 사용되고 있다. BLEIA는 루시페라제에 의해 생성되는 라벨효소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질이 루시페라제의 기질로서 작용하여 발광반응을 일으키므로 이들 라벨효소와 효소기질을 선정하는 것이 분석감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화된 BLEIA의 경우, Alkaline phosphatase를 항체나 항원의 라벨효소로 사용하는 경우 D-luciferine-O-phosphate를 효소기질로 사용하고 있으며, β-galactosidase를 라벨효소로 사용하는 경우, D-luciferine-O-β-galactoside를 효소기질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ATP를 효소기질로 이용하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Kinase(ATK 또는 PPDK)를 라벨효소로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PPDK는 ATK보다 백그라운드 발광성이 낮아 BLEIA의 분석감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업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 유전공학기법으로 제조된 유전자변이 루시페라제의 경우 아직 실험실 연구단계에 있으므로 좀더 많은 연구결과에 따라 그 응용성이 다양해질 것이라 기대해 본다.
저자
Maeda, Masa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30(6)
잡지명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25~1734
분석자
최*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