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나노입자의 현재와 미래

전문가 제언
□ 현재 나노기술에 관해 연구하고 있는 단체는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선진국에서만도 450여개 기업과 270개 대학에 이른다. 연구비만도 연간 대략 25억$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의 현황은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 및 소자제작연구와 나노물질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기관은 10여 대학 , 정부출연 연구기관 6, 7~9개의 기업체에서 수행하고 있다.

□ 국내 나노입자에 관한 연구 분야는
○ 세라믹 나노복합재료의 치밀화
○ 나노구조의 산화물, 세라믹 분말, 금속분말
○ 복합 자성재료, 자석분말
○ 화장품 및 의약품용 나노입자의 제조
○ 혼합 광촉매, TiO2 초미세분말, 극미세 다공질 구조체, 실리카 분말
○ 나노결정합금분말, 나노전자재료분말, 후막, 박막 등이다.

□ 우리나라 나노기술의 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양적, 질적인 면에서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국내외 시장성을 분석하고, 국내에서 아직 갖추지 못한 세부 공백기술을 파악하여 향후 나아갈 기술 로드맵을 작성하는 등의 단계별 발전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나노기술은 분석, 제어, 합성의 전 과정이 극미세 수준이므로 높은 기술 집약을 요구하고, 에너지 및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케 하여 높은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분자수준에서 물질을 통제하는 기술이므로 기존의 마이크로 기술과는 다른 개념의 물질 창조를 가능케 한다. 약물전달시스템의 예와 같이 BT와 NT가 결합되어야만 실현가능해지는 특징을 가져, 학문간 경계가 소멸하여 관련분야와의 접목이 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저자
Rittner, Mind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99(11)
잡지명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9~42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