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공장의 모니터링(Monitoring of steam plants)
- 전문가 제언
-
□ 보일러의 수처리를 위한 모니터링의 중요성은 1,2개월에는 그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지만, 예컨대 일년에 한 두 번씩 실시하는 연차보수(annual turnaround)기간에 보일러 튜브를 관찰하고서야 비로소 그 중요성을 실감하게 된다. 말하자면, 튜브 내에 끼인 스케일이 돌 이상으로 단단하여 끌로 깨어내지 않으면 안 될 정도일 때도 있고, 이로 인한 열전달 불량에 기인하는 보일러 효율의 급격한 저하 또한, 국소 과열을 초래하여 튜브의 파열을 가져와 결국은 보일러의 가동정지 후 정비하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한다.
□ 따라서 최선의 사고방지 대책은 증기 순환계와 순환계구성요소(재질선택과 수처리 화학을 포함하는)의 설계 재검토, 이 시스템의 시운전과 조기조업중의 모니터링, 수처리 화학, 증기 화학, 부식검사, 운전자 교육과 활동, 시료채취, 품질관리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모니터링 실례를 참작하여 가장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에 공장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그 결과는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비비용 보다 10배나 높은 불필요한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제품생산차질에 기인하는 손실도 방지되므로 모니터링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 저자
- Jonas, Otaka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42(4)
- 잡지명
- Materials Performa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8~42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