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 광산폐수의 미생물 군락(Microbial communities in acid mine drainage)
- 전문가 제언
-
□ 산성 광산폐수의 생성기구는 간단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일반 화학반응식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으나 산성 광산폐수가 생성되는 과정에 미생물이 황철석, 황화물의 분해와 황산물의 환원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황철석 및 황화물의 산화를 억제하고 황산염의 환원을 촉진하여 산성 광산폐수의 발생을 규제함으로서 광산개발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폐·휴광산지역의 환경과 생태계를 복구하는데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중요하다.
□ 본 논문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Iron Mountain의 Richmond 광산 등의 광산폐수를 대상으로 폐수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종의 다양성, 철·황의 산화와 환원을 통한 신진대사 등 그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미생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나 이해될 수 있는 내용에 치우친 감이 있으나 깊이 있게 다룬 내용이므로 우리가 앞으로 산성 폐광산 폐수로 인한 자연환경의 훼손과 파괴를 막고 생태계를 보호하는데 귀중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도 달성광산 공해방지시설 설치방안 조사연구에서 황산염 환원균에 의한 실내 실험결과 달성광산폐수의 주 오염원인 SO42-, Cu, Cd, Ni, Fe, Zn, Mn은 평균제거효율이 71~99%로 나타났고, pH도 중성으로 상승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저자
- Baker, Brett J.; Banfield, Jillian 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44(2)
- 잡지명
- FEMS Microbiology E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9~152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