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산소환원 촉매
- 전문가 제언
-
□ 미래 운반용 전원으로 기대가 되고 있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연료인 메탄올이 양극에서 수소이온 전해질 막을 통해 음극으로 투과되는 메탄올 Crossover 현상이다. 메탄올이 투과되어 음극으로 이동하게 되면, 산소 환원반응을 일으키는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연료전지의 성능을 감소시키게 된다.
□ 메탄올 Crossover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로 양전극 사이에 있는 수소이온 전해질 막을 개발하고 있는데, 가시적인 성과가 아직까지는 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메탄올 Crossover 현상으로 연료전지 성능의 저하가 음극 촉매의 활성 감소임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메탄올에 저항성이 있으면서 산소 환원 촉매 로 사용할 수 있는 촉매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산소환원 촉매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귀금속 Pt를 비롯하여 Macrocyclic Compound와 전이금속 촉매, 금속 산화물 촉매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그 제조방법, 활성 등이 제시되어 있다.
□ 촉매 외에도 혼합 반응물 사용 DMFC가 소개되었는데, 이는 연료인 메탄올과 산화제를 분리시키지 않고, 메탄올 연료를 산화시키거나, 산소를 환원시키는데 선택도가 있는 양극, 음극 전극촉매에 의존하는 방법이다. 혼합 반응물 사용 DMFC는 메탄올 연료와 산화제인 산소가 연료전지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섞어져 들어가게 된다. 가격 경쟁력이 있는 혼합 반응물 사용 DMFC에 대해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Shukla, A. K.; Raman, R. 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33
- 잡지명
-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5~168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