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산균의 대사공학(Metabolic pathway engineering in lactic acid bacteria)

전문가 제언
□ 유산균은 계통발생학적 또는 rRNA의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류체계는 아니며 유산발효의 생리적 특성과 다양한 산업에의 응용성에 따른 일종의 인위적 분류에 의한 세균군이다. 일반적으로 당을 분해하여 거의 유산만을 생성하는 균종을 Homolactic fermentor, 다른 약간의 유기산과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생성하는 균종을 Heterolactic fermentor로 분류한다.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Pediococcus, Leuconostoc, Bifidobacterium과 같은 균속에 속하는 대부분의 균종들이 유산균류에 들어간다.

□ 유산균의 건강증진 효과는 1908년 파스퇴르 연구소의 E. Metchnikoff가 불가리아 지방의 장수촌에서 유산발효유가 장수의 큰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표한 이후 과학적 연구가 활발해졌다. 유산균이 장내 세균총의 개선과 탁월한 정장작용이 밝혀지면서 변비와 설사의 개선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산균은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장내의 발암촉진물질을 불활성화시키고, 발암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을 억제시켜 몇 종류의 암발생을 저해하는 항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성인병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위궤양 원인균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어 이를 바탕으로 한 발효유 제품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어 유산규의 이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 위와 같은 다양한 유산균의 효과는 가축과 인간에서 유산균이 항생제와는 반대 개념을 갖는 Probiotics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특히 항생제의 남용에 따른 많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유산균을 주축으로 하는 Probiotics의 이용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유전적 연구 결과를 응용한 대사공학적 기법을 유산균에 적용하여 보다 우수한 유산균주의 개발과 개량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leerebezem, Michiel; Hugenholtz, Jeroen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14(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2~237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