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철강산업에서의 철광석 분류

전문가 제언
□ 2002년도 기준 일관제철사인 포스코에서의 철광석 사용량은 약 3,900 만 톤에 달하고 있는데, 이 중 국내 철광석 사용량은 19만 톤에 불과하였다. 이와 같이 수입 철광석 의존율이 99.5% 이상인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주요 해외철광석 광상의 야금학적 특성 등을 고려한 철광석의 분류와 이에 따른 고찰은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 철광석을 제철공정에서 사용하는 첫째 방법은, 고로-전로 루트를 통하여 제철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고로에 직접 장입되는 괴광, 분광으로 제조하는 소결광, 극미분광으로 제조하는 펠릿의 형태로 사용되는데, 양적으로는 각각 약 15~20%, 70~80%, 5~20% 수준이다. 철 품위 측면에서는 소결광이 55~60%, 괴광과 펠릿은 65% 이상의 수준이다. 소결공장은 대부분 코크스공장과 함께 제철소 내에 위치한다.현재 국내 유일의 일관 제철사에서는 괴광과 소결광, 소량의 펠릿을 고로에서 사용한다.

□ 철광석을 제철공정에서 사용하는 둘째 방법은, 직접환원-전기로 루트를 거쳐 사용하는 것이다. 즉 전기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품위 괴광이나 펠릿을 Midex shaft furnace 등의 직접환원로에서 환원하여 환원철로 만들고, 이 환원철을 전기로에 장입하여 제강하는 방법이다. 이 공정은 제강 이전의 단계에서는 철광석의 맥석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맥석양이 극히 적은, 대체적으로 철 품위 65% 이상인 광석을 필요로 한다. 펠릿용 광석은 대부분 부화처리를 거치게 되므로 입도가 미분이고, 필요에 따라 전처리 단계에서 극미분으로 분쇄하기도 하며, 대부분 광산 인근에서 펠릿을 제조한다. 우리나라 철강회사에서 현재 직접환원-전기로 루트를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일관 제철사에서는 부분적으로 직접환원-전로공정 루트를 이용하는 Corex공정과 Finex공정을 적용한다.
저자
D.C.Goldrin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12(1)
잡지명
Transactions of the Institutions of Mining and Metallurgy Section B: Applied Earth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17
분석자
김*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