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농도를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수화 겔(Increasing the local concentration of drugs by hydrogel formation)
- 전문가 제언
-
□ 허용된 투여량 내에서 고농도의 약제를 원하는 부위에 전달한다는 것은 의약, 약학 부문에서 목표로 하는 가장 의미 있는 기술에 속한다. 본문의 수화 겔을 이용한 방법들도 이 중에 하나에 속한다. 그러나 아직 실용화된 기술이 아니며 앞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다.
□ 이들 수화 겔을 형성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독성이 없고 생체 적합성이 있어야 하며 또 필요조건으로는 원래 약제보다 생리활성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 최저 겔화 농도(Minimal gelation concentration: MGC)가 낮아야 하며 MGC이하 농도에서 안정된 용액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 표적 부위나 표면에 특별한 친화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 이를 뒷받침하는 예로 본문에 명시한 연구 보고 외에 Pang과 Zhu는 부분적으로 불소화된 지방산, CF3(CF2)CH2COOH이 8wt.%의 농도로 물에서 수화겔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고하였으며 이들은 이 불용성 화합물의 현탁물을 초음파 처리로 겔을 만들었다. 그러나 높은 MGC와 부분적 불소화된 화합물의 불용성 때문에 이 화합물은 수화 약제의 모델로 이용하기는 조건이 맞지 않았다.
□ 또한 다른 예로는 합성 수화제 외 몇 개의 분자량이 작은 펩타이드(11-20개의 아미노산)들도 수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데, 수화제가 되려면 이 펩타이드들은 물에서 β-sheet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들이 수용성이고, GMC값이 1wt.% 또는 그 이하이며, 가열없이 겔을 형성하지만 이들은 약제의 수화제가 될 수 없는데, 이는 이들의 복잡한 구조가 약제의 생리활성을 저해하여 약효 활성을 저감 또는 무력화하기 때문이다.
- 저자
- Tiller, Joerg 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2(27)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72~3075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