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체 이식 재료로서의 키틴과 키토산
- 전문가 제언
-
□ 키토산과 키틴 및 이들의 타 고분자와의 공중합 고분자들을 생체 고분자 재료로 사용하는 연구는 40여 년 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앞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여러 분야의 매우 활발한 연구 덕택에 이들의 발전 전망은 밝으며, 새로운 용도로서의 개발이 계속 될 것이다.
□ 그러나, 키틴, 키토산, 및 그 유도체들이 생체 의료용 재료로서 확고한 인정을 받으려면 두 가지 주요 사항들이 있는데, 하나는 생체 적합성이고 또 하나는 살균 문제의 해결이다. 생체 적합성은 많은 연구 결과, 대체로 양호하다 판단되지만 키토산이 성장 인자들과 상호 작용하여 이들을 고정화시켜 활성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가 하면, 키토산과 글루코사민이 세포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 세포의 이동은 세포 재배치에 필수적이며 상처 치유에 있어 불가결한 작용이다. 이 생체 고분자들을 상처 치유 치료에 사용하는 것은 좀 더 확실히 연구한 다음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의료용품이나 약물의 일반적 살균은 건조 열, 포화된 증기, ethylene oxide 가스, 또는 감마선에 노출시키는 것인데 키토산 제품에 대해 이 살균 방법이 적당한지는 이들 제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생체 내에서 목적한 바를 달성할 수 있는 지를 완전히 이해 또는 해명한 후에 결정해야 한다. 실제로 ethylene oxide 가스는 사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키토산과 반응하여 부산물을 생성하기 때문이며, 열은 키토산 분자내의 아민기가 서로 교차 결합 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 결론적으로 말하면 키틴과 키토산 및 유도체들을 생체 고분자 재료로 사용하는 연구와 병행하여 이들의 생체 적합성 연구 및 살균 방법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Khor, Eugene; Lim, Lee Yo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24(13)
- 잡지명
- Bio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339~2349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