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가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임목과 삼림 생태계에 주는 영향: 지식의 공백(Impa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2 on forest trees and forest ecosystems: knowledge gaps)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에 대한 1997년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에 대해 오는 2008~2012년에 이산화탄소 및 기타 온실가스 방출량을 1990년 수준 보다 평균 5.2% 줄이도록 요구하고 있다. 화석 연료 때문에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요구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 늘어난 대기 CO 농도가 지구 온난화와 식물과 식물 군락에 미치는 영향은 많이 연구 보고되고 있으나 삼림 입목과 삼립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과소평가되고 있다. 삼림 입목과 삼립 생태계는 전 지구 육지 표면의 43%와 전 지구의 일차 순 생산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므로, 이 분야의 연구 또한 중요하다.
□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시켜 식물을 비옥하게 만들어 성장시키고 결국 삼림의 탄소 흡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농도가 높아진 이산화탄소는 이미 일어난 환경변화와 결합하여 장기적으로는 식물 성장을 억제하므로 이산화탄소 이외의 자연적, 인위적인 여러 요소가 삼림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
□ 특히, 입목과 생태계 연구를 한정된 조건 즉 작은 나무, 일정한 공간, 특정한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단기간 관찰 등으로 연구할 경우에는 자연적인 환경 및 장기간의 영향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현실적인 조건으로 보정 추정하기도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자연과 가장 접근한 조건에서 연구 조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 우리나라의 탄산가스 발생, 축적, 격리, 순환 현상이 삼림의 성장과 삼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상기한 현실적인 조건에서 조사 연구하고 그 결과에 따른 장기 전망과 대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Karnosky, David 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9(2-3)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1~169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