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혈액조성 줄기세포 : 뼈에서 생물공정기로(Hematopoietic stem cells: from the bone to the bioreactor)

전문가 제언
□ 골수이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이 불과 20년 정도이지만 그 후 악성종양이나 혈액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치료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골수이식에는 조혈모세포나 말초혈액에서 얻은 혈액조성세포를 추출하여 이식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혈액내의 다양한 세포를 조성하는 성체의 줄기세포와 배에서 얻을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각광을 받고 있다.

□ 혈액조성줄기세포를 체외에서 증식시켜 생물의학 분야에 활용하려는 노력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재생, 분화, 재현성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혈액을 조성하는 기전은 복잡하고 실제로 세포를 배양해 보면 여러 가지 세포가 다양하게 서로 작용하며 배양조건에 따라 증식과 분화도 영향을 받게 된다.

□ 그러나 의료체계에서 안전하고 지속적인 혈액이나 혈액제제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어 줄기세포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대단히 많아 암에 대응하기 위한 면역계를 도우고,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고, 자가면역을 억제하는 데는 필수적으로 보고 있다.

□ 혈액의 이식뿐 아니라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을 회복시키거나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은 성형에서 수술까지 재생의학의 과제이며 처음 사람의 장기를 이식했을 때 새로운 희망을 보이기도 했지만 면역거부반응과 기증자가 많지 않다는 사실도 줄기세포의 연구에 기대를 하고 있다.

□ 사람의 조직 가운데 혈액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이식되고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혈액조성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생산하는 생물공정기(bioreactor)를 이용해 세포를 증식시키고 분화를 조절할 수 있다면 세포치료는 물론 조직이나 장기를 회복하는데도 많은 진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저자
Cabrita, Goncalo J. M.; Ferreira, Bruno S.; Lobato da Silva, Claudia; Goncalves, Raquel; Almeida-Porada, Graca; Cabral, Joaquim M.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3
권(호)
21(5)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3~240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