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생산용 녹색공장(Green factories for pharmaceuticals)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식물은 2차대사 산물이 합성되지 않더라도 고사하는 일 없이 생존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2차대사 산물 중에는 의약품, 효소, 색소, 식품첨가물 등 상업적으로 유용한 물질들이 있어 식물로부터 이들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생산해내는 방법 등에 대하여 최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특히 이중에는 의약품과 같은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물질들이 많아 그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2차대사 산물의 생산은 식물체가 원래 함유하고 있는 경우와 외래유전자를 도입한 형질 전환체를 이용하는 경우로 대별해서 생각할 수 있다. 첫째로 형질전환 없이 식물체가 원래 함유하고 있는 경우는 특정 2차대사 산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특정 무기물, 유기물, 식물 성장호르몬, 식물 면역활성제(elicitor) 등을 처리하여 함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둘째로 유용한 물질 예를 들면 치료용 단백질, 식용 백신, 항체 등의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체내에 도입해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안이 확립되고 있으며 멀지 않은 장래에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 후자의 방법 즉 외래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식물체를 이용하여 의약품을 생산하는 방법은 미국에서는 이미 포장실험(field work)을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기업체에서 이 분야에 역점을 두고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실용화되어 산업화된 경우는 없지만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식물에 도입된 유전자의 유전양상을 조사하면서 후대검정을 계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용한 외래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의 경우는 다음세대에 계속해서 유전될 것인가? 아니면 내,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유전양상에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반드시 검정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DAquino, R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99(1)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4~36
- 분석자
- 최*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