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성 지구의 나이는 몇 살인가?
- 전문가 제언
-
□ Jacobsen은 운석의 텅스텐 동위체 텅스텐182/텅스텐183을 측정하여 지구의 생성연대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과거에는 지구의 연대는 주로 천연 방사성 핵종인 우라늄238, 우라늄235, 토륨232, 루비듐87, 칼륨40 등을 이용하여 측정되어 왔으나 저자는 동위체 하프늄-텅스텐의 붕괴로 형성된 텅스텐182/텅스텐183 값을 측정하여 지구의 연령을 추적하였다. 이 새로운 연대 측정방법으로 태양계에서 최초의 고체입자가 형성된 이후 5천만년 안에 일어난 지구의 형성과 달이 형성되는 사건의 시기를 자연과학 및 지구과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Nature, Science, Geochim. Cosmochim. Acta 등에 기고된 연구 자료를 기초로 비교‧검토‧분석하여 연구하였다.
□ 만일 이 분야에서 국내의 연구진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결과가 이들 과학지에 발표된다면 이는 국내의 과학수준을 국제적으로 높이고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본질적으로 상기한 최고권위지에서 다루어지므로 하프늄과 텅스텐의 동위원소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시설과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여건을 대학과 연구소에 갖출 수만 있다면 우수한 두뇌를 가진 우리나라의 과학자들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현실 여건은 그렇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 이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지에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나 두뇌만 있으면 가능한 연구 분야이므로 국외에 인재를 보내어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줌으로써 결국에는 국가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길을 개척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마치 우리나라가 지금 당장은 경제적으로 아무런 이익이 없다고 하더라도 해저자원의 탐사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남극에 세종기지를 세워 남극대륙을 연구함으로써 미래의 자원원이 될 수 있는 공해저와 남극대륙에 대한 국제적 학술연구에 참여하고 개발에서도 기득권을 가질 수 있는 것과 같다. 같은 이치로 지구기원의 연구에 기여함으로써 미래에 우주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우리의 과학 수준을 국제적으로 높이고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저자
- Jacobse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3
- 권(호)
- 잡지명
- Scienc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1513~1514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