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시피 강에의 새로운 이야기 하나(Geochemistry: A new story from the Olman river)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의 내용은 현재 심각한 환경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대기로 방출되는 탄산가스의 제거와 관련하여 미국 미시시피 강 유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삼림벌채로 인한 탄산가스 제거의 감소이유를 연구한 것이다. 즉, 농경지를 삼림지로 변환하면 CO2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암석의 화학적 풍화작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CO2의 제거를 감소하게 되며 이를 전 지구적 탄소순환 과정과 연결하여 분석검토하고 논평한 것이므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 다만 우리나라의 강들은 대평야를 길게 사행하는 미시시피 강과는 그 성질이 다르므로 강유역의 보호 와 개발에 활용고저 할 때는 이런 점을 고려해야 된다. 당장 경제발전과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나 내용이 인류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자연환경문제를 전 지구적인 탄소순환의 차원에서 다루어진 좋은 발상이라고 생각되므로 한국도 이 분야를 연구개발함으로서 지구의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함은 물론 지구환경 문제를 분담하는 책임성 있는 국가로서 위상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유의할 점으로는 탄산가스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암석의 화학적 풍화에 의한 탄산가스의 제거 가 나무에 의한 탄산가스의 제거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지만 나무는 광합성작용으로 탄산가스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신선한 공기를 생산하며 생물계가 유지되는데 필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암석의 화학적 풍화는 CO2 제거의 역할만 하고 대개 삼림이 파괴되고 훼손된 암반이 지표로 노출된 곳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따라서 생태계 보존 의 차원에서 볼 때 현저히 다른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규산염의 풍화는 규회석보다 분포가 넓고 풍화가 잘 되는 장석류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이 분야 연구는 자연과학 및 지구과학 분야의 세계 최고권위지인 Nature, Science, Geochim. Cosmochim. Acta, Mineralogy 등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만일 이 분야에서 국내의 연구진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결과가 이들 과학지에 발표된다면 국내의 과학수준을 국제적으로 알리는데도 기여할 것을 생각된다.
- 저자
- Ittekkot, Venugopala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잡지명
- Scienc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6~58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