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자독성의 범위-산업용화학물질의 소개(Genotoxicity - threshold or not? Introduction of cases of industrial chemicals)

전문가 제언
□ 산업계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수 많은 유기화학물질은 여기에서 인용되고 있는 포름알데히드,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트리클로로에치렌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를 비롯한 동물에 상당한 독성을 주는 유해화학물질이라는 데는 확신이 가고 있으나 유전자독성으로 인한 발암성물질인가의 여부와 발암성물질일 경우에 영향을 주는 경계치는 과연 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은 결론에서 보듯 더 많은 적합한 실험과 인체를 이용한 최종단계까지의 연구가 있어야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다만 발암가능성에 대한 연구자들이나 국가에 따라 가이드라인을 정해 관리하는 것은 보건환경상 무방하리라 본다.

□ 이미 포름알데히드와 같이 합성목재의 접착공정에서 거의 사라진 화학물질도 아직은 다른 소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트리클로로에치렌도 상당량이 과거사용에서 유래되어 토양이나 지하수오염을 이미 심각할 정도로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들로 인한 오염토양이나 지하수는 상당한 비용이 들더라도 적합한 복원기술을 동원하여 처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 유기화합물의 인체유해성에 대한 생체평가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더구나 유전학적인 발암성물질로써 평가하는 것은 결론을 유도하기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이러한 유해성 유기화합물에 무방비하게 노출되는 것은 절대로 금해야 할 사항이고 산업계도 이점은 확실히 해서 작업장에서뿐 아니고 주위환경에 영향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4가지 유기화합물에 의한 독성이 유전자독성으로 인한 발암성물질로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임상역학적인 의견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 것으로 우리나라 독성학 연구인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하며 참고하시기 바라는 바입니다.
저자
Bolt, Hermann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140-141
잡지명
Toxicology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3~51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