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이제한, 뇌하수체 호르몬과 노화
- 전문가 제언
-
□ 노화 및 수명과 관련된 그 동안의 많은 실험적 결과를 통해 식이제한(Food Restriction; FR)이 노화를 억제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 또한, 완전한 뇌하수체 호르몬의 부재(不在) 상태인 뇌하수체 절제수술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부분적 감소 상태를 유발하는 식이제한보다 더욱 큰 항노화 작용을 보이지만, 수명은 오히려 단축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서 뇌하수체 호르몬의 감소는 노화현상을 억제하는데 기여하지만 절대적 부재 상태는 생명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최근 뇌하수체 호르몬의 결핍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형 동물은 정상 동물보다 50% 이상의 수명연장과 혈액 중 높은 항산화 효소활성을 보인다는 것이 증명되어 항산화 활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이제한에 의한 항노화 및 수명연장 효과 기전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감소와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작용으로 생체 조직의 산화적 손상의 감소와 조직의 노화와 관련된 질병의 발생을 지연시켜 수명이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따라서 노화나 동물수명과 식이제한, 뇌하수체 호르몬, 항산화 효소 활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실험적 결과들은 앞으로 노화 연구와 관련된 연구계획과 그 방향설정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Everitt, Arthur V.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1)
- 잡지명
- Biogeront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7~50
- 분석자
- 남*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