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징에서 필릿 이음부의 장단점(Fillets in brazing: good or bad?)
- 전문가 제언
-
□ 브레이징 이음부는 사용 목적에 따라 통전을 위한 이음부(전기, 전자기기), 구조물 조립을 위한 이음부(금속 구조물의 결합),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이음부(기체, 액체류 용기)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에서 강도를 필요로 하는 브레이징 이음부의 경우는 응력집중을 피하도록 브레이징부 위치를 선정하고 액체 상태의 브레이징용 용가재 금속(BFM)의 흐름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급격한 형상변화를 피하는 브레이징 설계기술이 필요하다.
□ 용접/접합 이음부에서 필릿은 포개진 이음부, 티 이음부, 십자 이음부, 모서리이음부 등에 있어서 거의 직교하는 두개의 면을 용접/접합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용접/접합 금속을 의미하며, 브레이징 이음부의 필릿 형상을 설계할 때는 이음부에 걸리는 응력집중을 가능한 분산시키기 위하여 브레이징용 용가재 금속을 충분하게 사용하여 필릿이음부의 반대편 끝부분에 액체 상태의 브레이징용 용가재 금속이 충분하게 용입되고 필릿 이음부가 오목한 상태로 이음부의 둘레를 완전하게 돌아서 노치효과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 브레이징 이음부에 발생하는 결함 중에서 액체 상태의 브레이징용 용가재 금속의 흐름 불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결함으로 주로 대형의 보이드 형태로 나타나서 브레이징 이음부의 성능을 크게 떨어뜨리므로 전처리, 설계, 플럭스와 작업분위기, 가열온도 등을 올바르게 선정하여 브레이징용 용가재 금속의 흐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특히 필릿이음부의 경우에는 더욱 더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국내 브레이징 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국내산업체의 기술개발을 적극 권장해야 하며, 본고에서 제공하는 브레이징 필릿 이음부에 대한 기술 정보는 향후 부가가치가 높은 브레이징 제조기술의 내실있는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ay, Danie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82(10)
- 잡지명
- Welding Journal (Miami FL United Stat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0~54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