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운석 중의 탄소와 질소 함량(Elemental and isotopic abundances of carbon and nitrogen in meteorites)

전문가 제언
⃞ 운석(meteorites)이란 지구 밖에서 유래한 암석의 파편이 지구 대기권을 통과한 후 지표에서 발견된 것으로, 대부분의 운석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수많은 소행성의 집합체인 소행성대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운석은 화성 또는 위성(달)에서 유래된 것도 있다.

⃞ 운석은 태양계 탄생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매우 귀중한 시료로서, 여기에 담겨져 있는 정보는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는 이미 대부분 지워져 버린 기록들로서, 지구상의 암석들은 분화를 거듭하여 현재 46억년을 지시하는 암석들은 발견되지 않으며, 가장 오래된 암석의 경우 약 39억 년 전에 생성된 암석이므로, 우리가 태양계의 나이를 측정하는 것은 이들 운석을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 이 자료는 영국 런던의 “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운석 중 탄소(炭素, Carbon, C)와 질소(窒素, Nitrogen, N)의 원소 함유량과 동위원소 성분을 최신의 분석방법으로 재 정량하여 과거 미숙했던 분석법에 의한 값을 보정하여 정리한 자료이므로, 콘드라이트운석에 대한 C와 N의 존재비 등 새로운 자료에 의한 운석 구분의 기준을 정리하고, 앞으로 미해결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꼭 필요한 계획을 세우기 바랍니다.

⃞ 영국 대영박물관 발간 "Catalogue of Meteorites"에 의하면, 한반도에는 4개의 운석이 낙하하였는데, “운곡운석”, “옥계운석”, “소백운석” 등은 그 소재가 불명하지만, 1943년 11월 23일 오후 3시 47분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성두리에 낙하한 “두원운석(콘드라이트)”은 현재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 전시 중이므로 관람을 권장한다.
저자
Grady, Monica M.; Wright, Ian P.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3
권(호)
106(1-4)
잡지명
Space Science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231~248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