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산염료의 전망(Disperse dyes: a dye chemists perspectives)

전문가 제언
□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염료산업은 정밀화학의 선도 산 업으로서 분산염료는 염료 중에서도 신 합섬 섬유에 사용하는 염료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1920년에 소수성 섬유의 출현으로 분산염료의 개발의 역사는 시작 되었 으며 다음과 같이 여러 단계를 통해서 발전 하게 되었다.
처음 개발된 분산염료는 염욕 중에서 염료의 가수분해에 의해 염색이 되었 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개발로 여기에 맞는 염료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 염료는 아조염료, 안트라퀴논계염료, 헤테로 사이클릭 염료가 사용되고 있다.

□ 새로운 합성섬유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고이수축 혼합기술, 이섬도, 혼섬기술, 극세사 섬유기술 등은 분산염료의 개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개발된 소재들은 분산염료의 개발과 복합적으로 개발된다면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 분산 염료는 다른 염료와 달리 고온에서 염색을 하게 되므로 가수분해가 쉽고, 안전 문제 뿐만 아니라 다른 염료와 혼합사용시 많은 문제점이 발생 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 하기위해서는 염료구조의 변화와 염색방법을 변 화시키거나 섬유 제직 시 염료와 친화적인 신 합섬의 기술적합성에 관한정보와 염색 방법을 개선하고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 할 것이다

□ 선진국에서의 염료 산업은 다른 산업으로 전환 되고 있는 시점으로 이 기회에 국내 분산염료 산업을 재정비해서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 다. 또한 아조기의 발색단의 흡광계수를 기존의 수치보다 수 배내지 수십 배 높은 것을 개발한다면 한국이 세계의 염료 산업을 주도해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Weaver, Max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3(1)
잡지명
AATCC Review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21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