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체계의 대체혈액 연구 현황(Current status of blood substitute research: towards a new paradigm)
- 전문가 제언
-
□ 대체혈액 연구는 미 육군에서 전쟁터에서 수혈이 급한 군인환자에게 잠시 투여하여 수술을 할 수 있는 큰 병원으로 옮길 때까지 시간을 벌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했으며 지금도 군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 인간으로부터 기증받은 혈액은 냉동되어야 하고 또 이들은 AIDS나 간염과 같은 질병에 감염되어 있을 수도 있다. 대체혈액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혈액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혈액을 유전공학이나 화학적으로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시간을 버는 용도로는 세포가 없는 산소 운반체(대체혈액)로서 아직까지는 헤모글로빈이 최적격이다. 이 때 헤모글로빈은 순환 시간이 연장되도록 개선한 것이며 이것은 폐안에서 산소와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이 산소를 운반하고 각 조직에 전달한다. 몇몇 대체혈액은 너무 오래되어 수혈에 사용하지 못하는 인간 혈액에서 얻은 헤모글로빈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소의 혈액에서 채취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기도 한다.
□ 또한 근래의 연구로는 흔히 있는 바다벌레(Arenicola marina)의 헤모글로빈이 간독성이나 알레르기 같은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쥐 실험에서 입증되었다. 이 헤모글로빈은 개선할 필요가 없고 단지 정제만 하면 된다. 이 헤모글로빈은 동물의 것보다 50배나 커서 그대로 사용하여도 간에서 분쇄된 후에도 입자가 커서 분쇄된 동물 헤모글로빈처럼 간에 달러 붙어 간의 여과 과정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 대체혈액 연구는 벌써 30년이 넘게 개발되어 왔지만 미국 FDA에서나 다른 나라 정부기관에서 허가받은 것이 없고 남아프리카에서만 유독 공식적 허가로 사용되고 있다. 모든 개발제품들이 임상시험에서 실패하고 있는 상태이다.
- 저자
- Winslow, R.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253(5)
- 잡지명
-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08~517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