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 가능한 석유가스 산업용 13%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과 균열(Corrosion and cracking of weldable 13 wt-%Cr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for application in the oil and gas industry)
- 전문가 제언
-
□ 통상 기계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하여 소둔하여 연화된 상태로 공급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성이 커지며 용접열영향부는 마르텐사이트 형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정한 용접예열과 용접시공 조건이 매우 중요하고 용접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재료이다.
□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부위 균열은 경화된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에 용접이음부의 구속응역과 수소가 존재하여 발생하는 수소 유기 저온 균열로서 용접부가 냉각된 직후나 또는 수 시간에서 수일이 경과한 후에 관찰되는 지연균열 형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소원이 되는 물, 수분, 기름, 그리스 등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저수소계 용접재료를 선택해야 하며 용접이 끝난 후 용접부의 검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석유나 천연가스의 송유관으로 개발되고 있는 개조된 13%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국내수요와 해외 수출을 위한 국산화 개발에는 용접기술과 내식성 향상을 포함하여 많은 기술 자료가 필요하다. 본고에서 정리한 용접 가능한 석유·가스 산업용 13%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과 균열에 대한 리뷰 자료는 재료의 균열과 부식에 관하여 많은 연구결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용접부의 부식과 균열의 방지를 위한 연구결과의 비교 검토를 비롯하여 석유나 천연가스의 송유관용 고급강재의 생산과 응용을 위한 용접재료와 시공기술에 관하여 많은 비중을 두고 정리하였다.
□ 앞으로 우리나라의 동해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가스를 채굴하여 육지로 수송하는 수송 및 운반시설의 건설에 필요한 다량의 석유·가스 산업용 13%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개발하고 용접제작하며 시설의 보전과 사후관리를 위해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용접의 방식기술과 용접재료를 포함하는 용접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제공하는 기술 정보는 향후 용접 가능한 석유·가스 산업용 13% Cr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개발과 용접, 방식 분야의 내실 있는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urnbull, A.; Griffiths,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38(1)
- 잡지명
- Corrosion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1~5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