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농제품의 수분함량 통제(Control of the water content of dairy products)
- 전문가 제언
-
□ 낙농제품에 있어 수분함량 통제는 경제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상적으로 □ 낙농제품에 있어 수분함량 통제는 경제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상적으로 논하면 어느 정도 연장된 기간 동안에 생산된 위탁물들 혹은 제품들의 수분함량을 모두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공식적 통제 결과는 샘플 단위의 평가만을 허용한다.
□ 많은 낙농제품의 수분 함량은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통제 결과는 공정 조건과 측정의 불확실성을 보여준다. 법적 한계치로 순응여부를 정할 때 이들 변수의 근원을 고려해야 한다.
□ 반면 공식적인 분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통제 당국이 생산자들의 자동조절 데이터를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적절한 통제 개념은 이들 정보는 물론 정기적인 생산자들의 신뢰성 체크가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제 당국의 초점은 낙농제품의 직접적인 수분함량 체크보다는 신뢰성 체크에 맞추어야 한다.
□ 마시는 우유의 통제 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의 수분함량이 아니라 첨가된 물의 함량 비율이다. 이는 마시는 우유를 만든 조 우유의 성분 비교로 결정된다. 통계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생산자의 양심이다. 자발적으로 질 좋은 우유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을 위하고 당국의 통제에 유연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Glaeser, Herman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82(1)
- 잡지명
- Foo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21~124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