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액 조건을 사용한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형태들의 제어
- 전문가 제언
-
□ 각각의 특정 용도에 정확한 새로운 고분자들의 합성이 요구된다. 때때로 새로운 고분자 합성은 도전과 비용 그리고 시간 소비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고분자 성질 보다는 오히려 용액조건들의 조작에 근거한 형태학적인 제어기구에 대한 연구들이 검토되고 있다. 제어기구는 세 가지 주된 형태형성 구성 성분들, 즉 내부-사슬 신장, 코로나-사슬 반발, 내부와 외부 용액간의 계면장력에 대한 각 용액성질의 영향에 의해서 설명된다.
□ 이 논문에서는 집합체축조를 제어하는데 사용 될 수 있는 수많은 용액성질들, 즉 용매혼합물 내 물의 함량, 용매의 성질과 조성, 첨가제의 존재(이온, 계면 활성제 그리고 단일 중합체), 고분자 농도 그리고 기타 성분들의 영향을 정밀조사 한 것이다. 자기조립의 시작과 연이은 형태변화들은 일반적으로 물 함량의 함수로써 용액의 혼탁도측정에 의해서 추적된다. 블록공중합체 용액에 염들 그리고 산 혹은 염기들의 첨가는 형태제어를 하기위해서 사용 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의 형태형성 영향은 코로나-사슬 반발의 강도에 대한 그들의 영향에 관련된다. 염들의 부가는 부분적으로 이온화된 PAA사슬들에 따라 하전체들의 차폐가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정전기적인 반발이 감소 될 수 있다. SDS의 높은 농도들은 용액 내 물 함량이 증가할 때, 주어진 형태변화를 유도한다. SDS의 첨가는 코로나-사슬반발과 내부-사슬 신장 양쪽에 영향을 미친다.
□ 블록공중합체들의 용액에 단일중합체의 첨가는 집합체들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크기에 대한 변화를 유도 할 수 있다. 블록공중합체로된 집합체들의 크기와 형태는 온도 그리고 친수성 블록의 다분산성과 같은 인자들에 민감하다. 어떠한 단일 중합체도 존재하지 않은 구형 미셀들을 얻을 수 있는 블록공중합체에 단일 중합체를 첨가하면 어떠한 형태의 변화 없이 미셀 직경을 증가시킨다.
□ 친수성 블록의 다분산성은 집합체모양과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다. 집합체축조를 결정하는 세 가지 주된 힘들, 즉 내부-사슬신장, 코로나-사슬반발, 그리고 계면장력에 대한 각 인자들의 제어 기술을 응용하여 새로운 영향들을 고려하여 의약 방출용 수화젤을 만들 수 있는 기술에 응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Choucair, A.; Eisenberg,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10(1)
- 잡지명
- European Physical Journal E: Soft Mat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7~44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