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환경에서 내분비교란물질의 이해(COMPREHENDing endocrine disrupters in aquatic environments)

전문가 제언
□ 환경호르몬(이 연구보고서에서 말하는 내분비교란물질)에 대한 관심은 이를 지칭하거나 여기에 속하는 미량의 화학물질들이 수없이 종류가 많고(미확인된 화학물질도 상당수 존재할 정도임) 발생이나 이동경로도 매우 다양하며 이들 물질이 독성물질과 달리 장기간에 걸쳐 인간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불안감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학계와 연구계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의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환경부산하의 국립환경연구원을 중심으로 독성물질과는 별도로 환경호르몬이라는 별개의 독립된 연구 분야를 개설하여 이와 관련된 미량화학물질의 분석방법, 발생경로 및 물질이동, 동식물이나 인체에 주는 장・단기적인 영향이나 환경호르몬원인물질의 감소방법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보건-역학적인 연구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은 퍽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믿고 싶다.

□ 유럽연합이 각국의 독립적인 연구와 병행하여 COMPREHEND프로그램을 만들어 연구체계를 독특하게 운영하는 것도 아마 환경호르몬의 발생경로나 이동 등이 대단히 광범위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황사연구를 중국-한국-일본이 협동 체제를 유지하고 있듯이 장래에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연구가 적어도 3개국의 공동연구정도는 결과의 효율면에서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 연구보고서는 그런면에서 상당한 가이드역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Pickering, Alan D.; Sumpter, John P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37(17)
잡지명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1~336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