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조 및 대체요법(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eutics)
- 전문가 제언
-
□ 천연물 특히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원료로 하는 CAM은 그 제품원료의 투명성, 성분함량 표시의 부정확성, 안전성 또는 안정성의 결여, 임상실험 내지는 인체실험의 결여 등은 물론 원료의 중금속 또는 농약의 오염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우수한 유효식물의 확보를 위해서는 원식물의 기원이 확실해야 하며 그 원식물의 채집시기, 채집장소, 재배환경 등의 차이에 따라 그 원료의 품질이 결정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일정한 원료를 얻으려면 원료의 규격화 내지는 표준화를 필요로 하며 이를 해결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것은 지표성분 내지는 활성성분을 구명하는데 있다고 본다. 함유성분, 특히 주성분군이 확인되면 원료의 진정한 효능의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게 되고, 안전성의 평가에도 기여할 것이고, 품질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원료의 표준화 내지는 규격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서 기존약물과의 약물상호작용의 구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고대로부터 민간에서 경험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료의 신비를 현대 과학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 그 효능을 입증함으로써 우수한 CAM의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합성의약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현대의약의 맹점인 장기 투여에서 오는 부작용과 암, 고혈압, 당뇨병, 골다공증, 혈전증 등 현대의 여러 가지 난치성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체질개선을 통하여 생체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고 장기투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CAM의 효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CAM 요법의 5개의 주 영역은 물론 과학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부분은 있으나 심신 중재, 에너지요법에는 형이상학적 요소를 갖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과학적으로 구명하는 장치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앞으로 기능성 건강식품분야도 CAM 분야와 그 맥락을 같이 함으로 기능성식품이 CAM으로 발전되는 장치도 필요하며 나아가 CAM과 현대 의학과의 접목을 통해서 난치성 만성질환의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다.
- 저자
- Kinsel, Jane F.; Straus, Stephen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3
- 잡지명
- Annual Review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63~484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