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과 60mm의 전열화학포의 발포 성능과 플라스마 점화 변수의 비교(Comparison of plasma ignition parameters and firing performance with 20- and 60-mm electrothermal-chemical guns)

전문가 제언
□ 전열화학포(ETCG)는 기존 화포무장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기존 화포무장이 화학추진제만으로 탄체를 가속시키는 반면 전열화학포는 화학추진제 연소 시 발생하는 화학에너지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체를 가속시키게 된다. 전열화학포는 전기적으로 발생된 플라스마를 개량형 나이트로 셀룰로오스 추진 장약의 점화에 이용하며, 재래식포의 포미부위에 설치된 전극에 펄스형태의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아크를 발생시켜, 아크가 전극사이에 위치한 절연제를 플라스마화하여 노즐을 통하여 약실에 분출된 플라스마는 약실 내에 있는 액체를 가열, 고온/고압의 플라스마를 다시 발생시켜, 이 플라스마의 팽창력으로 탄자를 가속시킨다.

□ 전열화학포의 특성은 추진에너지는 화학에너지 80~90% 이상, 전기에너지 10~20%를 이용함으로써 전자포에 비해 전원장치의 규모를 1/5 이하로 줄일 수 있어, 기존 화포에 비해서 포구속도 및 포구에너지 증대 용이, 낮은 최대압력 대 평균압력 비율로 부드러운 가속 가능, 가속도에 민감한 탄 가속에 적합, 전자포와 비교시 전원장치 규모가 1/5 이하로 감소됨으로서 무기체계화 적합, 둔감한 추진제의 사용으로 안전도 증대, 기존 화포의 기술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전열화학포 구성품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은 전원장치 에너지 밀도와 전기 및 화학에너지 비율이다. 즉 전열화학포의 무기체계 선정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전원장치의 부피 및 중량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원장치의 고밀도화 해결이 필수적이라서, 전열화학포의 추진에너지는 전자포에 비해 전원장치의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열추진 개념 연구, 기존 추진제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둔감도가 우수한 추진제 사용 방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전열화학포의 제어성, 포구속도 재현성 및 고밀도 전원장치 등의 무기체계화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를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Kay, A.; Raupp, J.; Mura, D.; Steinbach, C.; Peter, H.; Franco, P.; Hensel, 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39(1)
잡지명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9~243
분석자
곽*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