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 인간의 영향 및 산호초의 회생방안(Climate Change, Human Impacts, and the Resilience of Coral Reefs)

전문가 제언
□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해 지구 온난화 영향을 지구상의 곳곳에서 극심한 가뭄과 때로는 폭우, 폭설이 내리는 기상 이변이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면과 해수 온도 상승으로 해양생물의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산호의 경우 지구상의 산호초의 약 30%는 이미 폐사되었고 향후 30~50년 이후엔 기후 변화에 의해 약 60%의 산호가 손실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우리가 살고 있는 생태계에서 가장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공생하는 곳이 산호초이다. 산호초는 bleaching되면 폐사하고 곧 황폐화되어 주변 생태계가 파괴된다. 따라서 산호는 열대 우림과 함께 지구 차원에서 생태학적으로 보호 되어야 할 첫 번째 해양 생물이라 할 수 있다.

□ 최근 우리나라도 동해안 해저에 백화현상이 일어나고 이 현상은 독도 부근 해안까지 번지고 연안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하였다고 보고 된 바 있다. 또한 연안에 위치한 원전 폐수로 인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여 주변의 양식장의 어패류가 폐사하여 법원이 원전 측에 손해 배상을 하라는 판결이 내린 바도 있다.

□ 우리나라도 제주도, 울릉도, 독도 해안에 산호가 서식하고 있어, 지구 온난화 영향에 따른 산호의 생태계 변화는 물론 해수 온도 상승 및 환경오염에 따른 해양 생물의 생태계 변화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연구해야 될 것이다. 또한 해양 생물 보호구역과 어획 금지구역의 확장을 통해 해양 생물자원 보호는 물론 국제적인 노력에 협력하고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환경, 수산, 해양 연구 분야 전문가들에게 본 내용의 일독을 권한다.
저자
Hughes, T. P.; Baird, A. H.; Bellwood, D. R.; Card, M.; Connolly, S. R.; Folke, C.; Grosberg, R.; Hoegh-Guldberg, O.; Jackson, J. B. C.; Kleypas, J.; Lough, J. M.; Marshall, P.; Nystroem, M.; Palumbi, S. R.; Pandolfi, J. M.; Rosen, B.; Roughgarden, 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잡지명
Scienc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29~93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