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청정강에 존재하는 개재물에 관한 고찰(Characterization of inclusions in clean steels: a review including the statistics of extremes methods)

전문가 제언
□ 금속 조직에 들어있는 산화물, 황화물, 탄화물, 질화물 등의 개재물은 기지 조직과는 상이한 형태 및 결정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금속의 성질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강 구조물의 경우에 충격 내성과 피로 및 파괴 강도는 표면과 표층 하에 존재하는 개재물 등의 결함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강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크기와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강 구조물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선진 기술국들은 비파괴 검사, 개재물 농축 검사, 화학적 분석, 통계학적 예측 등과 같은 개재물 분석 기술의 고급화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Murakami 등이 극단값 통계(SEV)에서 얻은 개재물의 특성과 경도값을 사용하여 정리한 고장력강의 피로강도 예측식은 강재의 변형 및 파괴와 관련된 기계적 특성 자료를 구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최근에 개발된 나노인덴테이션(nano-indentation) 방식의 자동화 압입시험기(Automated Ball Indentation Tester; ABI)를 사용하여 임계 크기가 10㎛ 정도인 개재물의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극단값 통계법보다 개재물의 크기 계산에 신뢰성이 우수한 GPD법을 사용하면 시험편의 채취, 가공, 시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강재의 응력-변형률 곡선, 항복 응력, 평가 인장 강도(EUS), 강도계수(K), 가공경화 지수(n), 피로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 인자를 매우 경제적으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 철강 재료를 비롯한 금속 재료와 용접 구조물의 용착 금속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분석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재료와 구조물의 품질을 판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역학의 개발이 필요하다.

□ 세계적인 철강 대국으로서 철강 생산과 소비의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의 철강 산업의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향후 청정 재료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한층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Atkinson, H. V.; Shi, 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8(5)
잡지명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7~52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