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분자의 경구전달 방법 (Challenges for the oral delivery of macromolecules)
- 전문가 제언
-
□ 경구전달의 필요성은 투여가 간단하고 아프지 않으며 편리하다는 것에 있다. 또 환자의 상항에 따라 각각 다른 양을 투여할 수 있으며 환자들이 원하는 좀더 낮은 투여회수에도 있다. 모든 환자에서 특히 노년환자에게는 빈번한 주사나 기타 약물 투여가 문제거리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하루 한번의 경구투여로 해결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 여러 요인들이 약물 경구전달 분야의 성장을 유도하고 있는데 이들은 화합물들의 빠른 자동검색 기술과 Genomic/Proteomic 지식 등으로 앞으로 많은 새로운 생리활성 화합물들이 알려질 것이고 이들 대부분은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 등의 거대분자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경구전달 제제가 앞으로는 큰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또한 고순도의 재조합 단백질의 상업적 생산은 많은 치료분야에서 중요한 치료선택 기회를 주었다. 단백질 외에도 점액다당류인 헤파린과 같은 약물은 주사제로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아직 경구투여 불가능으로 상용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 최근에는 모든 기술이 서로 연관성이 있어 상호 보완역할을 하는데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경구전달 기술에서도 나노기술이 앞으로는 각광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나노 입자로 캡슐화한 나노약물 형태로 경구투여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저자
- Goldberg, Michael; Gomez-Orellana, Isabe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2(4)
- 잡지명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89~295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