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내연엔진의 세라믹부품(Ceramic component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전문가 제언
-
□ 세라믹은 자동차부품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충격에 약한 치명적인 단점과 금속재료와 비교할 때 고가인 단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되고 있는 것은 경량성과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의 세라믹특성을 활용하여 연료절감,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의 감소 등 친환경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선진국 자동차 관련 업체에서 지속적인 실용화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 Daimler-Benz는 금속재료보다 50%나 가벼운 세라믹 밸브를 장착한 엔진에서 배기가스 중 30%의 질소산화물 감소, 20%의 일산화탄소의 감소와 6%의 연료절약이라는 획기적 개선 결과를 기초로 1997년 생산 스케일의 생산을 시작했고,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을 위한 유기형태 세라믹의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1단계로 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원료를 촉매기질로 사용하여 높은 화적변화율과 오염물질의 효과적제거가 가능한 성과를 얻었고, 2단계로 검댕과 재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깊은 침상여과의 높은 효과와 높은 저장용량을 가진 고온 가스 필터구조를 개발하는 등 친환경적 디젤엔진 및 배기가스처리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서유럽에서는 80년대 중반 이후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이 발암물질이라는 비판과 각종규제로 수요가 위축되었으나, 소음과 진동이 심한 단점을 해소하고 연비를 높인 신기술의 디젤엔진 개발로 90년대 전체 서유럽시장 14.1%에서 최근 약30%까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 우리나라의 21세기 성장 동력산업에 포함된 자동차산업은 기술개발 및 국재경쟁력강화 중점산업으로서, 2005년부터 디젤엔진 승용차의 국내시판이 허용됨에 따라 치열한 기술경쟁이 예상되며, 친환경적이고 경쟁력 있는 디젤엔진 승용차 생산을 위한 관련 부품의 연구개발을 서둘러야할 시점이다.
- 저자
- Thiemann, K.-H.; Schaefer, W.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80(8)
- 잡지명
- CFI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5~20
- 분석자
- 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