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백신(Carbohydrate-protein conjugate vaccines)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어린이에게 감염성이 큰 세균성 질병에 대한 백신을 리뷰한 것으로 특히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균 타입b, 폐렴연쇄상구균, 수막염균, 장티푸스균, 그룹B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피막에 존재하는 특정 다당류에 대한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백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최근 20여 년간 개발되어 온 병원균에 따른 특정 피막다당류와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백신에 사용하는 운반단백질, 면역반응의 유용한 연령, 임상효과 등을 잘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 다당류피막을 가진 병원성세균이 인체에서 면역반응을 유발시키는 항원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작용기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며, 따라서 다당류-단백질 접합체의 면역항체 생성기전에 대한 설명이 취약하다.

□ 백신은 생물학적 제제 기준에 따라 감염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사균을 사용하는 사균백신, 약독화한 균주를 사용하는 비활성화백신, 병원성 미생물의 분해산물에서 독성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톡소이드백신 등이 있다. 본 다당류백신과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백신은 미생물의 다당류 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한 것으로 비활성화 백신처럼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만 감염은 일으키지 않으므로 능동면역주사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상풍, 인플루엔자 등 비활성백신이나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등 다당류접합체백신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백신은 그 환자의 건강기능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백신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면역기능이 저하된 어린이나 노인, 장기이식환자들에게 유용한 다당류백신의 개발은 건강한 사회를 이루어 가는데 매우 중요한 분야라고 생각된다.

□ 바이러스의 피막다당류가 아닌, 바이러스의 항원유전자 일부를 백시니아바이러스에 삽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DNA 백신이나, 유전공학 기법으로 발현된 바이러스당단백질 백신의 발전 방향도 함께 기술했다면 좀 더 쉽게 다당류접합체 백신의 위상을 설명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저자
G Ada D Isaac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9(2)
잡지명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9~85
분석자
최*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