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과작물 종실의 품질 개량의 내용과 의미
- 전문가 제언
-
□ 두과작물은 사람과 가축의 중요한 양분의 근원이라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고 또 토양을 덜 수탈하면서 소중한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다는 뜻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 경제적으로 유족한 나라에서는 동물성 단백질이 주요 단백질 급원이지만 빈국(빈국들을 개발도상국이라고 부르는 것은 말장난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개발도상국이었으니 말이다.)들에서는 에너지 공급을 위한 곡류 생산에 급급한 나머지 동물성 단백질은 말할 것도 없고 두과작물재배를 통한 식물성 단백질도 재대로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백질 결핍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콩만이라도 부족하지 않게 먹을 수 있다면 세계 사람들의 건강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장차 그럴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다리며 콩의 품질개량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해보는 것은 뜻있는 일일 것이다.
○ 콩에는 곡류에 많이 들어 있지 않으면서 사람과 가축에게 곡 필요한 단백질과 지방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별로 개량할 점이 없는 식품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콩 단백질의 일부는 사람이나 가축에게 이용될 수 없고 사람이나 가축에게 잘 이용될 수 있는 단백질에는 유황이 들어 있는 필수 아미노산(메치오닌과 시스테인)이 부족하다. 콩에 많이 들어 있는 지방도 질이 좋은 편은 아니며 콩에 들어 있는 탄수화물 중 상당 부분은 가열 또는 발효시키지 않으면 사람이나 가축이 소화시킬 수 없다. 물론 콩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지만 이처럼 여러 가지 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크다. 특히 동물성 식품을 구득하기 어려운 나라 사람들이 두과작물을 유일한 단백질 급원인 나라들을 위해서도 두과작물의 품질은 반드시 개량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는 대학도 많고 훌륭한 시설과 장비를 잘 갖춘 연구기관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콩을 비롯한 여러 가지 두과작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기대만큼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다. 산업화와 함께 국내 콩 재배면적이 급격히 줄고 콩을 대부분 수입해야 하는 현실이 그 콩에 대한 연구에 적절한 자원을 배분하지 못하게 한 것이 그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이유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중요한 식품이고 앞으로도 중요하게 여겨질 콩을 비롯한 두과작물에 대한 연구를 등한시 여기는 것을 정당화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구나 우리는 이제 우리만을 위해 학문연구와 기술개발을 해야 하는 처지에 머물지 않게 될 것이다. 우리는 세계적으로 10대 교역국(交易國)으로 부상하고 있다. 거기에 머물지 않고 국민소득 20,000달러 달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사실은 우리가 세계적 관심사에 대해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동물성 단백질에 접근할 수 없는 빈국들에게 있어 콩 같은 작물은 가까운 장래에 매우 중요한 식품이 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콩과 같은 두과작물의 품질개량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인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두과작물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선발육종을 통한 우량품종 개발과 재배법 등에 대한 연구에 치중해 왔다. 최근 착수된 유전공학기법을 이용한 콩에 대한 연구인 제초제저항성 품종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는 비록 미국에서 개발된 기술을 우리 여건에서 활용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기는 하나 두과작물 개량을 위해 유전공학적 기법의 활용을 시도한 것으로 이런 노력은 지속적으로 발전시켜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Trevor L. Wang, Claire Domoney, Cliff L. Hedley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131(3)
- 잡지명
- Plant Phys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86~891
- 분석자
- 홍*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