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카드뮴, 폐 및 전립선암 : 최근 역학적 데이터의 체계적 검토(Cadmium, Lung and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Data)

전문가 제언
□ 금속은 생체에 대한 작용에 따라 필수금속, 불활성금속, 유해금속으로 분류되며 카드뮴은 납이나 비소와 함께 유해금속에 속한다. 유해금속은 유년기에는 미량밖에 없으나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여 오랜 기간 축적이 일어나면 건강에 장해를 일으키는 금속이다.

□ 카드뮴에 의한 급성중독은 일반적으로 식중독과 유사하게 구토, 복통 등 소화기관 장애가 주로 나타난다. 카드뮴의 장기간 섭취에 의한 만성중독으로 신장기능 장애가 일어나 당, 아미노산, 저분자 단백질 등이 소변에 현저히 증가 세뇨관 병변을 일으켜 2차적으로 카드뮴이나 인의 손실이 일어나고 체내 균형이 깨어져서 신장장애, 골연화증이 유발된다.

□ 본 종설에서는 금속 제련, 합금 , 금속 관련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집단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주로 유럽의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카드뮴과 같은 유해금속에 노출되었을 때 폐암이나 전립선암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그 조사집단의 선정이나 규모, 측정 데이터 등이 불충분하여 일관성이 결여되어 경향은 짐작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이 불가능하므로 정확한 해석과 전망을 하는데 문제가 있다.

□ 다만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를 보면 매우 장기간에 걸쳐 업종별로 비교적 광범위한 집단에 대하여 역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가치가 있으며 특히 IARC와 같은 암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기관이 기여한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앞으로 통계학적인 해석이 가능 할 정도의 좀더 일관성 있는 data 가 얻어질 수 있고 역학적 조사뿐만 아니라 활성연구도 병행함으로서 직장노동자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능하기를 기대하며 이러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시스템이 조성되기를 희망해 본다.
저자
Verougstraete, Violaine; Lison, Dominique; Hotz, Philippe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6(3)
잡지명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B: Critical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27~256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