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H의 바이오계면활성 촉진에 의한 생복원(Biosurfactant-enhanced bioremed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주변과 군부대주둔지역 및 산업현장과 석유류에 의해 오염되고 오래된 오염지역이 거의 동일한 지역으로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고 더구나 이런 중증오염지역이 무관심속에 방치되거나 숨기고 있음이 더 큰 문제인 것이며(용산 일대의 미군주둔지역 등에서 보듯) 연안 해역에서의 유조선이나 석유제품수송선 및 일반화물운반선의 좌초나 충돌로 인한 기름 유출사고도 연간 수건씩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 해안 기름유출사고의 처리과정을 보면 아직도 과학적인 처리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오염범위의 확산을 막는 정도의 흡유포 사용이 일반적이고 연안에 갯벌이나 바위에 부착된 유류(해안 생태계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바닷물에 씻겨 희석되기만을 기대하는 현실로 있고 기름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은 연구단계에서 크게 발전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 환경부의 G-7 Project 연구사업이나 차세대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도 유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에 관한 연구기관들의 참여가 점차로 활성화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은 이 부분 연구의 한 가지 방안을 분명히 제시해준 수준 높은 가이드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Cameotra, Swaranjit Singh; Bollag, Jean-Mar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33(2)
- 잡지명
-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1~126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