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안전을 위한 보조도구로써의 생체지표및 집단지표(Biomarkers and community indices as complementary tools for environmental safety)
- 전문가 제언
-
□ 생태계환경에서는 전체 생물집단이 영향을 받기 훨씬 전에 단독개체에 대한 미미한 변화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환경안전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생체지표의 확인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수 있으나 생태계의 교란 즉 환경교란을 일으키는 요인은 무수하게 존재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몇 가지의 생체지표만으로 생태환경의 질을 완전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하겠다.
□ 현장생태계의 건강정도를 확인하고 건강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생체지표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생체지표에 근거를 둔 생태독성학의 폭 넓고 깊이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특정지역에서의 동식물종의 풍부성이나 다양성이 화학오염물질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생체지표에 대한 생태교란이전의 자료가 면밀하게 조사되어 단독개체의 조사결과가 어느 정도로 생태계의 질과 관련하여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인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생태계의 변화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써의 생체지표연구에 대한 과정을 상세하게 정리하고 그 유용성을 강조한 것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생태환경의 질적 평가에 관심이 있는 학계나 연구계의 연구자들에게 좋은 연구가이드를 제공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 저자
- Vasseur, Paule; Cossu-Leguille, Carol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8(8)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11~717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