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밑의 생물지질화학:장래 원위치조사를 위한 최신기술과 지침(Benthic biogeochemistry: state of the art technologies and guidelines for the future of in situ survey)

전문가 제언
□ 육지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산업폐기물이나 생활폐기물 및 침식에 의한 토양 및 오염된 폐수 등이 결국은 일정부분 해양으로 모이게 되고 대기의 오염물질도 이동과정에서 상당량이 해양에 낙하하여 결과적으로 해양의 해저면 침강물을 이룬다고 가정할 때 해양은 지구에서 허파와 같은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으며 인체나 동물의 허파에도 일정한 처리용량이 있듯이 해양도 그런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인류는 너무 해양을 괴롭혀 해양이 과부화로 황폐되지 않도록 해야할 의무가 있다.

□ 육상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은 인류문명과 산업의 발달로 점차 줄어들어 심각한 자원고갈의 현실은 멀지 않아 도래할 것이고 (최근에 이에 대한 불안감이 더 큰 현상이 도처에서 보이고 있음) 인류가 믿는 곳은 바로 해양에 가려져 있는 바다 밑이라는 미지의 세계일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보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금세기에 들어서 해양연구는 다른 첨단과학연구와 결합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 환경적인 측면에서 해양생태계의 유지는 수산자원의 보존을 위해서는 항상 중요한 과제이나 연근해나 심해에 이르기까지 수압문제나 부식문제 및 접근성의 문제로 인해 제약을 받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원위치 측정기술의 발전은 다른 첨단분야에서의 기술개발과 결합하여 이제 표준화 및 신뢰성확보에 더 노력하면 해저면이나 해수의 생물지질화학적인 상태연구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 본 논문은 2002년 영국에서 있었던 국제회의(2002. 3/25~3/29)에서“Benthic Dynamics : in situ surveillance of the sediment-water interface”라는 주제로 발표된 내용으로 해양침강물을 중심으로 하는 심해에서의 생물지질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측정기술의 최근까지의 발전을 종합한 것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자
Viollier, E.; Rabouille, 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285-286
잡지명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31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