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테나이트계 망간강 (Austenitic manganese steels - developments for heavy haul rail transportation)
- 전문가 제언
-
□ 10~14%의 Mn과 1~4%의 C 조성을 갖는 Hadfield 강은 마모(abrasive, wear)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가공 경화율이 우수하여 다방면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Hadfield 강을 사용할 때는 C 함유량에 따라 섬유질 조직의 변형과 상변태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레일 교차점이나 분기점의 철차용으로 Hadfield 강을 주조하는 경우에 는 주형재료와 용융금속간의 화학반응을 철저히 분석하고 용융금속의 응고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Hadfield 강의 표면에 육성용접으로 표면층을 도포하는 내마모 강판을 제조할 때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갖는 고Cr 철계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FeCrWC계 분말의 내마모 강판은 고온에서도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금속재료를 가공하면 소성변형에 의해 전위가 금속내의 슬립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서로 부딪히고 합하여지면서 전위가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가공경화가 되면서 강해지는 반면에 인성이 감소하여 취약한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화를 실시면 재료의 강도가 증가하면서도 취약해지지 않으므로 따라서 Hadfield 강의 강화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Smith, R. W.; Mackay, W. B. 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2(3)
- 잡지명
- Canadian Metallurgical Quarterl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33~34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