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중의 질소화합물-농업시스템과 관련된 쟁점

전문가 제언
□ 질소순환은 질소고정, 암모니아화 반응(Ammonification), 질산화반응(Nitrification), 탈질화반응(Denitration) 등 4가지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업적 암모니아 합성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지구상의 생물학적 및 비 생물학적 질소 고정량과 탈질에 의해 대기 중으로 돌아가는 분자상 질소의 양이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최근에는 공업적질소고정이 증가하여 탈질량이 질소 조정량을 따라가지 못해 생물권에 고정된 질소량이 점점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세계적으로나 국지적으로나 질소고정과 탈질에 의한 질소순환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더욱 광합성과 생물질소고정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그로 인한 식량생산을 향상시키는 방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에서 배기된 NO가스는 빠른 속도로 NO2로 산화된다. 수 ppm의 NO2가 식물에 폭로(暴露)되면 광합성의 중요한 생리기능이 저하된다. 식물체내의 기공을 통하여 흡수된 NO2는 식물 잎 내에서 물에 녹아 NO2-와 NO3-로 분해 되나 두 물질 모두 NH3로 바꿔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합성에 이용된다. 비교적 고농도의 NO2에 폭로되면 잎 내에 유해한 NO2-가 축적되어 잎 세포내에 존재하는 엽록체 막에 영향을 미쳐 광합성 활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보통의 야외조건(0.04~0.06ppm)에서는 이러한 수 ppm의 NO2농도는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NO2단독에 의한 식물피해는 없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저 농도의 NO2라도 SOx나 광화학적 산화성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인간이나 동식물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음으로 체계적으로 이의 복합적 영향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Davison, Alan W.; Cape, J. Neil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29(2-3)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1~187
분석자
구*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