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3 millenium에 직업과 관련된 생식연구 과제(An occupational reproductive research agenda for the third millennium)

전문가 제언
□ 직업적인 요인 때문에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출산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공중보건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지금도 독성물질과 연관이 있는 제품이나 약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런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생식에 어떤 영향을 받을지 잘 모르고 있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중금속, 유기용매, 농약, 가정용 살균제, 마취가스, 항암제 같은 의학용 약품 등 많은 물질이 사람의 생식이나 발달에 독성물질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구체적인 자료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 실제 많은 화합물에 대해서는 위험성의 원인을 규명하고 자세하게 정량화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독성의 기전과 어떠한 사람에게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식별함으로써 많은 사람의 건강을 보호함은 물론 특히 출산과 관련해서 그 의미가 더 큰 것이다. 그러나 실험실에서 이러한 독성을 찾아내고 어떤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내는 것보다도 더 빠른 속도로 더 많은 새로운 화학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 다행히 최근의 연구방법이나 기술이 진전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있지만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 논문은 독성물질에 관련된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출산과 건강에 대한 연구방향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과거의 이러한 연구는 주로 역학적인 조사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최근의 게놈과 프로테오믹스, 바이오인포매틱스 같은 새로운 학문의 발전과 고속처리기술이 분자수준의 작용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생식과 관련된 독성물질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독성물질은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중요함을 고려해 연구방법은 물론 저자가 제시한 몇 가지만이라도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연구과제의 순위결정, 계속적인 감시활동, 유전과 환경의 중복된 영향의 고려, 연구 자료와 결과의 교류 및 공개를 기대한다.
저자
Lawson, Christina C.; Schnorr, Teresa M.; Daston, George P.; Grajewski, Barbara; Marcus, Michele; McDiarmid, Melissa; Murono, Eisuke; Perreault, Sally D.; Schrader, Steven M.; Shelby, Michael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111(4)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84~592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