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메틸-치환된 지방산의 알파-산화와 그의 티아민 의존성 (Alpha-oxidation of 3-methyl-substituted fatty acids and its thiamin dependence)
- 전문가 제언
-
□ 결론에서 언급한 3-메틸-사슬을 가진 지방산이 과산화소체의 α-산화과정을 거쳐 탄소수가 하나가 줄어드는 과정 4개중 티아민 pyrophosphate 의존성 잘림 기작은 논쟁이 아직 많다. 이 TPP의존성 잘림에서 hydroxyphyanoyl-CoA lyase에 의하여 알데히드와 formyl-CoA로 전환한다고 하였으며 이 활성의 단백질을 코드화 한다고 가정하는 유전자가 복제되었는데 이 유전자가 신장 세포에서의 과잉 발현되면 α-산화 과정에서 유속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알려졌고 재조합된 단백질은 분해효소 활성이 없었다. 또 hydroxyphyanoyl-CoA lyase라는 이유전자는 다른 종에서 복제된 oxalyl-CoA decarboxylase와 아주 비슷하며 둘 다 TPP 의존형이고 둘 다 α-keto acid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들이 α-hydroxy-CoA에도 작용한다고는 할 수 없다.
□ 3-메틸-측쇄의 배열이 α-산화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2-hydroxylation의 방향을 결정한다. 즉 어느 쪽으로 OH기가 붙느냐하는 것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메틸그룹이 중간체 2-hydroxyacyl -CoA 이성체의 배열을 결정한다.
□ 이 분야의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티아민 결핍환자, 즉 티아민 반응성 거대아세포 결핍증 (thiamine responsive megaloblastic anemia (TRMA) 환자에게 전체적인 α-산화 부족현상이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환자에게 phytanic acid의 축적을 가져오는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또 최근 TRMA환자에게 부족한 티아민 운반체 SLC19A2가 혈청 막에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막에도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나 이것이 혹은 유사체가 과산화소체 막에 존재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2-HPCL이 최초의 티아민 의존성 포유류 과산화소체라면 티아민/TPP이 과산화소체에 도입되는 기작이 해명되어야 한다.
- 저자
- Casteels, Minne; Foulon, Veerle; Mannaerts, Guy P.; Van Veldhoven, Paul 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270(8)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19~1627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